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·고물가로 서민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쑥 오른 생활비에 대출 이자까지 더하면 허리가 휠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주머니가 얇아진 만큼 한 달에 한 번씩 빠져나가는 보험료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[김설 /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: (한 달 보험료가) 20만 원에서 30만 원 나가는 거 같아요. 생활비도 많이 나가야 하는데 보험료도 많이 나가니깐 부담되는 면이 많은 거 같긴 해요.] <br /> <br />[한상국 / 서울 길음동 : 소득 수준이 그만큼 상승해서 받쳐주면 또 그렇겠는데, 지금 물가도 많이 오른 상태고 (보험료 내는 게) 당연히 부담되죠.] <br /> <br />어쩔 수 없이 보험을 깨는 '생계형' 해지가 급증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생명보험업계 해약 환급금 규모는 올해 들어 3분기까지 34조 원이 훌쩍 넘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보다 10조 원 이상 불어나면서 3분기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보험료를 내지 못해 보험사가 해지를 통보하는 사례도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비자발적 해지로 받는 환급금이 1년 새 30% 가까이 급증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: 보험 해지가 늘어나는 것은 기본적으로 이제 고금리와 경기 저하 등으로 인해서 생활이 좀 어렵다, 서민들의 생활이 굉장히 어려워지고 있다는 신호로….] <br /> <br />실제로 보험계약 해지 사유를 보면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많이 꼽혔습니다. <br /> <br />어려운 경기 상황이 내년 상반기까지 계속될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마저 나오면서, 보험업계 유동성 관리에도 경고등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| 고민철 <br />그래픽 | 박유동 <br />자막뉴스 | 박해진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21108254568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